온라인 자기주도학습: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맞춘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자신의 속도와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다.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다.
디지털 교과서 활용: 교과 내용과 연계된 멀티미디어 자료, 실감형 콘텐츠 등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학습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.
온라인 평가 실시: 단원별 평가, 진단평가, 형성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평가를 온라인으로 실시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.
보충·심화 학습: 학생의 수준과 관심에 따라 기본 교육과정 외에 보충 학습이나 심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개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.
학습 이력 관리: 학생들의 학습 진도, 참여도, 성취도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 지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.
비상시 교육 대응: 감염병 유행,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등교 중지 상황에서도 원격으로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어 학습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.
학교-가정 연계 학습: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 복습하거나 예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학교 교육과 가정 학습의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다.